티스토리 뷰

국기원은 1972년 설립된 태권도 중앙도장으로서 전 세계 태권도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특수법인인 국기원은 태권도의 세계화와 무예 정신 전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이러한 모든 정보와 서비스를 국기원 홈페이지(www.kukkiwon.or.kr)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국기원 홈페이지의 주요 기능과 서비스, 그리고 국기원의 핵심 활동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기원 홈페이지의 주요 서비스

온라인 심사 및 발급 서비스

국기원 홈페이지는 티콘(Tcon)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발급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품단전환 서비스: 1품~3품을 1~3단으로 전환하는 서비스로 12,000원의 수수료
  • 품·단증 발급: 대증과 소증을 각각 6,000원에 발급
  • 각종 확인서 발급: 품단등록 확인서, 무력확인서, 자격증확인서를 각각 4,000원에 발급
  • 자격증 발급: 태권도 사범자격증, 승품단 심사위원 자격증, 세계태권도한마당 심판 자격증 등

최신 소식과 공지사항

국기원 홈페이지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공지사항과 보도자료를 제공합니다. 2025년 주요 공지사항으로는 세계태권도한마당 관련 공지, 세계태권도연수원 연간일정, 고단자 심사평가위원 강습회 등이 있습니다.

👉사이트 바로가기

국기원의 핵심 활동

세계태권도한마당

세계태권도한마당은 1992년부터 시작된 국기원의 대표적인 연례 행사입니다.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5,000여 명이 참가하는 이 행사는 품새, 격파, 호신술, 태권체조 등 태권도의 다양한 기량을 선보이는 최고의 태권도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태권도 시범단 활동

1974년 9월 6일 창단된 국기원 태권도시범단은 전 세계에 태권도의 우수성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시범단은 국내외 각종 행사에서 태권도 시범을 통해 태권도의 정신과 기술을 전파하고 있습니다.

세계태권도연수원 운영

1982년 개원한 국기원 세계태권도연수원은 태권도 지도자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입니다. 국제태권도사범, 장애인태권도사범, 태권도 승품·단 심사위원, 세계태권도한마당 심판 등 다양한 자격과정을 운영하며, 지금까지 약 8만 명의 지도자를 배출했습니다.

국기원의 통계와 현황

품단증 발급 현황

국기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현재까지의 품단증 발급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품: 5,479,583명
  • 국내단: 4,594,852명

이러한 수치는 국기원이 태권도 보급과 발전에 기여한 규모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조직 구성

국기원은 이사장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조직 구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국기원장 아래에 사무총장이 있으며, 기획조정실, 사업정책국, 경영운영국, 교육정책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연구소와 연수원을 별도로 운영하여 태권도 연구와 교육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국기원 홈페이지는 태권도인들에게 필수적인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플랫폼입니다. 온라인 심사 및 발급 서비스부터 최신 소식, 교육 프로그램까지 태권도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어 전 세계 태권도인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국기원의 설립 목적과 역할

국기원의 설립 배경

국기원은 1972년 11월 30일 재단법인으로 설립되어 1973년 2월 6일 정식 개원했습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에 위치한 국기원은 대지 6,600㎡, 건물면적 2,769.75㎡ 규모로 3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업무와 기능

국기원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태권도 기술 및 연구 개발
  • 태권도 승품·승단 심사 및 각종 교육사업
  • 태권도 지도자 양성 및 국외 파견
  • 태권도 시범단 육성 및 파견
  • 태권도 관련 해외보급과 국제교류 사업
  • 태권도 관련 무도대회 및 행사 개최 사업
댓글